- 처음에는 Multiboot로 우분투os를 설치하여 사용하려고 하였으나, 실력이 부족해서인지 인터넷 연결을 하는 부분에서 상당한 문제가 있어서 해결하지 못하다가, VM을 사용했던 기억이 있어서 써보고자 합니다.
- VM을 설치하면(버전 6.1.16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), 이런창이 뜨게됩니다.
- 해당 창의 `설정` 버튼을 누르면, `네트워크`가 보이게 됩니다.
- 저는 `NAT`를 사용하여 포트포워딩 해서 서버를 연결해 줄 것이기 때문에, NAT로 네트워크를 설정합니다.(default 값이 NAT이다.)
- 여기서 `고급` 탭을 누르면 `포트 포워딩` 버튼이 보이게 됩니다. 포트 포워딩 버튼을 누르게되면 밑의 창이 뜨게 됩니다.
파랑색 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`192.168.56.1` 이 보이게 되는데, 이 ip는 VM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설정되는 `호스트 전용 네트워크` 입니다.
해당 부분은 `vm 관리자 -> 파일 ->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`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
- 빨간색 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선이 제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`사설 ip`입니다. 즉, 제 ip를 NAT로 만들어진 VM의 `게스트 ip`와 연결이 되는 것이죠.
밑의 그림에서 오른쪽위의 초록색 `+`모양의 버튼을 누르고, 자신의 ip를 호스트 ip에 게스트 ip는 10.0.2.15(경우에 따라 다를 수도 있겠지만 왠만하면 똑같습니다.) 를 입력하시고, 자신의 포워딩 하려는 포트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. 이렇게 하면, 외부에서 vm까지의 연결이 가능해집니다.
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- 정말 간단하게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ip는 갯수의 부족으로 인해 더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공인ip(인터넷 구매를 통해 통신사로부터 받는 ip) 를 특정 대역의 ip로 변경해 주는 기능입니다. 주로, 라우터에서 이 기능을 사용합니다.
- `NAT로 만들어진 VM의 네트워크`라고 적어 놨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.
- NAT를 VM에 적용했다 그래서 IP가 변했다. 라고 하면, 쉽게 와닿지 않을 것입니다. 저 역시 그랬습니다.
- 그러나 NAT는 우리 주변에도 존재하고 있습니다. 우리가 라우터(공유기)를 사용할때 그렇습니다. 네이버에 `공인ip`라고 검색을 해보면 `ipconfig`로 알고있는 우리의 ip와는 다른 ip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.
- 실제로 변환이 된 ip를 우리는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.
- VM은 우리 네트워크 내에서 NAT를 사용하여 가상 라우팅(라우터를 하나 만든다고 생각하면 될듯 싶습니다.)을 합니다. 그 결과로 VM의 내에서 사용하는 OS의 ip는, `10.0.2.15`라는 ip를 가지게 되는 것이지요. (해당 설명은 위의 그림으로 보시면 더 이해가 빠를 것으로 예상됩니다.)